googleads naver web master 내가 현재의 삶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이유 (마인드셋의 필요성)
본문 바로가기
부자의 자아 쌓기

내가 현재의 삶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이유 (마인드셋의 필요성)

by MarisCashFlow 2022. 8. 26.

 수많은 자기 관리, 자기 계발서, 동기부여 서적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이 한 가지 있다. 바로 마인드셋. 이는 동기부여, 자아확립 등의 뜻을 포함해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부자가 되는 것, 현재 내가 하려는 일에서 어떤 성취를 하려고 함에 있어 마인드셋을 확립하지 않고 일을 하다간 잘못된 토대 위에 건물을 쌓는 일이 되어 일을 그르칠 수 있으며 잘 해결되지 않음에 다른 곳에서 이유를 찾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일

 

 성공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일이라고 해서 그일을 한다고 무조건 성공한다는 법은 없다. 하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그 행위를 하였고 여러 가지 요인이 합쳐져 운이라는 형태 또는 기회라는 형태로 그들에게 나타났고, 그 기회를 잡는 행동을 하는 결정을 하는 것은 마인드셋이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도 마인드셋이 되어있지 않은 사람은 '성공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하는 일'로 시작하는 문장을 보면 대개 이렇게 생각한다.

 그 행동을 한다고 해서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니잖아?

 

 이 생각 자체가 마인드셋이 되어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안 되는 이유를 찾는 행동. 자신이 할 수 없었던, 자신이 할 수 없다 생각하는 범주의 행동에 대해 안 되는 이유를 찾아 내가 행동하지 않은 것에 대한 자기 합리화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일시적 위안을 삼거나 위로가 될 수는 있지만 객관적인 내 현실상황과 그 미래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지금 내가 처한 상황이 불만족 스럽다면, 감정 그 이후에는?

 

 현재의 나의 라이프 스타일이 만족스럽다면 더 노력할 필요도, 마인드셋을 만들 이유도 없다. 그저 주어진 것에 감사하며, 현재 내가 주어진 현재에 충실하며 살아간다면 스트레스받지 않는 행복한 삶이 될 것이고, 자산의 규모의 크고 작음도 관계가 없어지고 물질적, 정신적 보상과 안식에도 한계가 없다. 모든 이가 말하는 완벽한 삶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고 필연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비교를 하며 살아간다. 태생적으로 온화한 성품이나 자아성찰이나 종교적 깨달음을 얻은 사람들은 그 부질없음을 알고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감사하며 남을 도우며 살아가지만 다수의 일반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은 욕구로 인해 현재의 상황에 불만을 가지고 개선하고자 한다.

 

SNS에서나 주변친구들은 다들 놀러 다니는데 나는 여유가 없네

내 사촌은 이번에 결혼할 때 처갓집에서 집이랑 차랑 다 해줬다더라.

멋진 차를 타고 예쁜 여자친구와 연애하고 싶다.

이번 경기에서는 꼭 1등을 해야해

부자가 되어서 마음대로 돈을 펑펑 써보고 싶다.

부모님이 병이 생기셨는데 치료비가 없다. 어디 목돈 생길만한 일이 없을까

대금이 밀려서 이번에 나가야 할 돈을 못맞 출 것 같아. 매출을 더 늘릴 순 없을까

 

 살면서 다양한 상황에 마주하게 되고 그 상황에서의 해결방법은 대개 바로 해결될 수 없는 것, 그리고 현재의 능력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를 무리해서 해결하려 하다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현재의 상황보다 더 안 좋은 상황으로 몰리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무리해서 대출을 하고, 훔치거나, 편법을 쓰고, 오래된 친구에게 부탁하거나 해서 해결한다 해도 그 문제 상황을 만났을 때의 내가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그 일을 넘어갈 순 있으나 또다시 그런 상황이 발생하고 그 상황을 본인 힘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된다. 

 결국 근본, 본질은 본인의 사고방식을 바꿔야 한다.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보자면, A를 b의 환경에서 c로 만드는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이는 b의 환경에서는 계산대로 잘 작동한다. 하지만 불특정 다수의 c나 d 그리고 z나 그 외 환경에서도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b의 카테고리에 그때그때마다 그 환경의 값을 입력하는 것은 답이 아니다.

 이 상황에선 어떤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방정식을 만들어 b의 자리에 넣어야 한다는 것이 답인 것이다.

이는 사람을 적용시켰을 때 모든 감각과 운동능력을 통제하는 뇌, 사고방식의 자립이 모든 상황을 해결해 준다는 뜻이다. 내가 원하는 것이 있고 그것을 쟁취하고자 한다면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관련 행동을 연습하고 관련 환경에 노출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받아들이는 나 자신부터 사고방식 즉 마인드셋을 먼저 바꾸어야 그 뒤에 학습하는 것도 올바르게 쌓이는 것이다.

 변화의 욕구를 느껴 행동을 시작하여도 며칠 못가 포기하거나 못하는 이유가 생겨 그만둘 수밖에 없는 것도 마인드 셋이 되지 않아서일 확률이 크다.

 성공한 사람들의 스토리 중 불우한 어린 시절, 사업에 실패한 이야기, 스스로 목숨을 내놓은 상황까지 갔던 이야기, 알코올 중독과 마약중독에 빠졌던 이야기들이 즐비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다.  현실에 마주한 상황이 극단적 일수록 어떤 사람은 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보통사람 이상의 마음가짐을 했을 것이고 이는 투지와 열정으로 나타나 보통사람 이상의 행동력을 갖게 했을 확률이 크다.

 내가 현재의 삶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좀 더 나은 라이프 스타일을 갖길 원한다면 어떤 행동을 먼저 시작하기 전에 각오를 다지고, 지난날의 내 모습을 돌아보고, 현재의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강력한 동기부여의 이유를 찾고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마인드셋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댓글